봄에 사왔던 3천원짜리 행운목을 한 7개월째 정성을 들여 키우고 있다. 지금까지 화초를 끝가지 키워본적이 없어서 이번에 이사 기념으로 구입한 행운목에 더 애착을 갖고 있다.
식물이라면 당연히 환풍 잘 되고 햇볕 잘 드는 곳이면 잘 자랄 것이라고 생각했다. 봄이라고는 하지만 추울 때라 햇볕 잘 드는 창가에 놓았다. 그런데 실수로 한쪽 줄기를 떨어뜨리고 나머지 한쪽은 말라가고 있었다. 평소 같으면 버리고 다른 나무를 샀을텐데 이번만큼은 끝가지 노력해서 살려보고 싶었다. 한 달이 지나 한쪽 남은 줄기도 썩어들어가고 있을 때야 비로소 인터넷을 검색해 행운목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다.
인터넷에 모든 정보가 있는 것은 아니였다. 유리 모양의 작고 예쁜 컵에 장식을 해 놓은 사진도 있고 그럴싸하게 수경을 해 놓은 사진들도 있었지만 나와는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 방법들이였다. 그래서 인터넷 속의 각가지 정보들에 의지하지 않고 내 방식대로 해보기로 했다. 식물도감을 보니 행운목은 직사광선을 피해야 한다고 한다. 그래서 방 안쪽에 들여놓고 남아있는 줄기 바로 밑에까지 물이 차도록 충분히 물에 담가 놓았다. 그렇게 1주일 정도 지나니 죽어가던 줄기가 새 잎을 피우더니 활기를 찾기 시작했다. 그렇게 여름이 가고 가을이 왔다. 나중에 반대편에서 자라기 시작한 줄기는 더 크게 자랐다.
처음부터 달려 있던 줄기. 처음부터 관리를 잘 했으면 지금쯤 더 크게 성장했을텐데 나중에 태어난 새싹에 자양분을 빼앗겼는지 성장이 더디기만 하다. 그러다 기온이 내려가니 군데군데 말라가기 시작한다.
아래쪽에 2주전부터 새싹이 나오고 있다. 콩알만한게 쑥쑥 자라고 있다. 아마도 위에 줄기는 이 새싹에 또 영양분을 빼앗겨 내년 봄까지는 살아남기가 힘들 거 같다.
뿌리가 이렇게 나올 줄은 몰랐다. 처음엔 나무에서 회충이 나오는 줄 알고 놀랬는데 실처럼 뿌리가 나오고 있었다. 그러더니 이렇게 많이 자랐다.
반대쪽에도 뿌리가 내리기 시작했다.
화분 아래에 나무젓가락을 받쳐서 뿌리가 바닦에 눌리지 않도록 했다. 원래는 뿌리가 내린 걸 보고 이제 화분에 옮겨 심으려고 했는데 새싹이 나오는 걸 보고 당분간 미루기로 했다. 다른 나무들에 비하면 성장이 매우 더딘 것 같다. 행운목이 원래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줄기가 세개씩이나 나왔으니 영양분을 공급해 줄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지 알아봐야 할 거 같다.
혹자는 행운목이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키울 수 있다고 하는데 나의 경험에 비추어 보자면 꼭 그렇지만도 않은 거 같다. 아무리 잘 자라는 성질의 나무라도 관심을 갖어주지 않는다면 원하는만큼 잘 자라지 않는다.
새싹이 7Cm 이상 자라면 화분에 옮겨심을 생각인데 그 후가 사실 걱정은 된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흙 속의 자양분이 식물이 자라기엔 더 좋은 환경일 거 같지만 행운목이 물을 좋아하는 것 같아 흙이 마르지 않도록 촉촉한 상태를 유지해 줘야 할 거 같은데 흙에 수분이 지나치게 많으면 뿌리 썩는 식물도 있기 때문에 그 적절한 상태를 잘 유지하는 게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모쪼로 다음엔 흙 속에서도 잘 자라는 모습을 포스팅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죽어가던 행운목 살려내다.
죽어가던 행운목 살려내다.
식물을 키워서 성공한적이 없던 내가 처음으로 우리집이 생긴 기념으로 의욕을 갖고 화원에 들렀다. 비교적 키우기 쉽다는 나무 종류를 선택했다. 일단 행운목은 이름이 마음에 든다. 지금은 줄
zibsin.tistory.com